-
[주간조선] 제3회 선학평화상 받은 수퍼모델 와리스 디리
제3회 선학평화상 받은 수퍼모델 와리스 디리“할례는 미투보다 절박한 일 매일 수천 명 아동이 당하고 있다”▲ photo 김종연 영상미디어 기자 “들쭉날쭉한 면도날에는 피가 말라 붙어 있는 것이 보였다. 여인은 면도날에 침을 뱉더니 옷에 닦았다. 여인이 면도날을 닦는 동안 엄마는 스카프로 내 눈을 가렸고 눈앞은 캄캄해졌다. 그리고 곧 내 살이, 내 성기가 잘려가는 것을 느꼈다.” (와리스 디리 저서 ‘사막의 꽃’ 중) 소말리아 태생의 여성 와리스 디리(54)는 열두 살 때 60대 노인과 결혼할 뻔했다. 그녀의 아버지가 낙타 다섯 마리를 받고 노인과 강제로 결혼시키려 했기 때문이다. 노인과의 결혼을 피하기 위해 디리는 집을 탈출했다. 사막을 건너고 길에서 만난 남성들에게 성폭행당할 뻔한 위기를 수차례 넘긴 끝에 영국 런던에 소말리아 대사로 부임해 있던 이모부 집의 가정부로 들어갔다. 런던 패스트푸드점에서 일하던 중 우연히 그녀를 본 사진작가의 눈에 띄어 모델로 발탁됐다. 이후 디리는 미국으로 건너가 할리우드에서 잘나가는 모델이자 배우로 성장했다. 007시리즈 본드걸 역을 맡는 등 인기를 끌던 디리는 1997년 과거 자신이 당했던 할례 경험을 고백하면서 인권운동가라는 또 다른 인생을 살기 시작했다. 할례는 아프리카 지역 소녀들에게 행해지는 성인식으로 여성 성기 일부를 잘라내는 폭력적 관습이다. 소말리아를 비롯한 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여성의 다리 사이에 ‘나쁜 것’이 있으므로 이를 제거해야 한다고 믿는다. 할례는 여성이 결혼하기 전 다른 남성과의 성관계를 막기 위해 자행되기도 한다. 아프리카에서는 결혼할 때 여자의 집안이 남자로부터 가축 등의 ‘결혼 자금’을 받는데, 성경험이 없는 여성이어야 더 많이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5살 때 할례를 받은 디리는 그때의 충격과 고통을 평생 잊지 못했다. 그녀의 친언니는 할례 이후 사망하기도 했다. 디리는 저서 ‘사막의 꽃’에서 할례라는 폭력에 대해 이렇게 썼다. “소말리아를 누비면서 많은 가족을 만나 그 딸들과 놀곤 했다. 그러나 다시 만나면 딸들이 보이지 않기가 일쑤였다.… 성기 훼손으로 인해 죽은 것이다. 출혈과다나 쇼크, 감염 또는 파상풍으로 인해. 할례가 행해지는 그 열악한 조건을 생각해보면 놀랄 일도 아니다.” 현재 아프리카 여성 인권 향상을 위해 세계를 누비고 있는 와리스 디리를 지난 2월 7일 서울의 한 호텔에서 만났다. 디리는 아프리카 농업 혁신에 앞장서 식량안보를 개선했다는 평가를 받는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와 함께 제3회 선학평화상(위원장 홍일식) 공동수상자로 선정돼 생애 처음 한국을 찾았다. 2015년 한학자 총재가 제정한 선학평화상은 세계 평화를 위해 노력한 이들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기후 위기 문제 해결에 앞장선 아노테 통 전 키리바시 대통령(1회), 아프간 난민촌에 학교를 짓고 교사 양성에 힘쓴 사키나 야쿠비 박사(2회) 등이 수상한 바 있다. - ‘할례’에 대해 생소해하는 한국인이 많다. “할례는 한마디로 아동학대다. 아프리카에서는 전통이나 문화라고 부르지만, 어린 소녀들에게 참을 수 없는 고통을 가하는 폭력일 뿐이다. 단지 오랜 믿음과 관습이라는 이유로 지금도 아프리카와 중동 국가에서는 하루 수천 명의 여성이 할례를 당하고 있다.” - 할례를 없애기 위해 무엇이 가장 필요한가.“교육이다. 이 세상에서 무언가 바꾸고 개선해내기 위해서는 교육이 가장 중요하다고 믿는다. 내가 설립한 ‘사막의 꽃’ 재단이 가장 중점적으로 하는 활동도 아프리카에 학교를 설립하는 것이다. 할례 같은 끔찍한 일이 벌어지는 이유는 결국 경제적 문제다. 가난하기 때문에 당하는 것이다. 여성이 교육을 받아야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고, 그래야 할례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디리는 2002년 자신의 이름을 딴 ‘사막의 꽃’ 재단을 설립한 이후 할례 금지를 위한 본격적인 활동을 벌여왔다. 그의 노력 덕분에 2003년 아프리카연합 소속 15개 국가에서 여성 할례 금지를 명시한 ‘마푸토 의정서’가 비준됐다. 2012년에는 유엔의 여성 할례 전면 금지 결의안을 이끌어내기도 했다. 2013년에는 120명의 의료진과 함께 파리, 베를린 등에 ‘사막의 꽃 센터’를 설립해 할례 여성들의 성기 재건 수술, 직업훈련, 교육 프로그램 등을 제공하고 있다. 지난해에는 아프리카 시에라리온에 초등학교를 설립했다. - 미국 할리우드에서 시작된 ‘미투(Me too)운동’이 한국에서도 이어졌고, 페미니즘은 몇 년째 세계적인 화두다. 이런 움직임들이 아프리카 여성 인권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보나.“할례는 미투운동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내용 중 하나라고 본다. 여성 인권 신장을 논하기 위해서는 우선 최소한의 기본적인 권리가 보장되어야 한다. 할례는 두세 살 된 소녀의 성기가 잘려나가는 일이다. 훨씬 절박하고 끔찍한 일이다. ‘긍정적인 영향’이라…. 미투운동 중에 할례에 관한 내용이 있었나. 그 아이들을 위해 나서서 싸운 사람이 있나. 나는 본 적이 없다.” - 아프리카 인권운동이나 기아퇴치운동은 한국을 비롯해 많은 국가에서 계속 진행해왔지만, 상황이 나아지는 것 같지 않아 보인다.“선진사회라는 유럽에서도 끔찍한 아동학대가 여전히 벌어지고 있는데, 아프리카라고 얼마나 달라질 수 있겠나. 어느 지역만의 문제가 아니라 ‘아동’에 대한 문제로 접근해야 한다. 세계 어디에서든 아이들은 여전히 학대를 당하고 있고 그들을 방치하는 어른들이 존재한다. 지역과 문화가 다르다는 이유로 당장 눈앞에서 학대가 벌어지고 있는데도 그 문제에 눈을 감고 입을 막으며 무시한다. 이 ‘미친 짓’을 관두지 않는 한, 전 세계의 어른들이 책임감을 가지고 아이들을 대하지 않는 한, 문제는 해결되지 않을 것이다.” - 앞으로의 계획은.“사랑으로 세계를 이끌어나가는 것이다.(웃음) 아프리카 소녀들을 위한 학교를 더 많이 짓고 나아가 전 세계에도 학교를 짓고 싶다. ‘사막의 꽃’이라는 이름으로 뮤지컬도 준비 중이다.” 그녀의 어린 시절은 폭력과 억압의 시간이었다. 그러나 그 시간들이 디리를 더욱 강하게 만들었다. 부당한 폭력과 학대에 대해 말할 때 그녀는 책상을 내려치며 목소리를 높였다. 반문명적인 폭력에 맞서 싸우고 있는 전사(戰士)처럼 보였다.[기사링크: http://weekly.chosun.com/client/news/viw.asp?nNewsNumb=002545100016&ctcd=C09]
-
- 1,082
-
- 2021.03.05
-
[아주경제] 아데시나 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 선학평화상 상금 50만 달러 세계기아퇴치재단에 전액 기부
아데시나 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선학평화상 상금 50만 달러세계기아퇴치재단에 전액 기부 기아, 빈곤, 청년완전고용 등 아프리카의 발전 위해 노력할 것아킨우미 아데시나 아프리카개발은행(AfDB)총재(사진)가 아프리카의 농업혁신과 굿거버넌스를 촉진한 공로로 수상한 제3회 선학평화상 상금 50만 달러를 세계기아퇴치재단에 전액 기부키로 했다.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는 지난 2월 9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 개최된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상금 50만 달러 전액을 제가 몸 담고 있는 재단인 세계기아퇴치재단에 출연하기로 결심했다”고 밝혔다. 아데시나 박사는 수락 연설을 통해 “배고픈 세계에 평화는 없다”며 “현재 전세계에서 8억5000만명 이상이 굶주리고 있으며 1억5000만명의 어린이들은 영양실조 상태이다. 세계 곳곳에서 진보가 진행되는 동안 우리는 세계적인 기아와의 전쟁에서는 승리하지 못하고 있다”고 꼬집어 국제사회에 경종을 울렸다.“전 세계인에게 먹거리를 제공하고 기아와 영양실조를 없애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으며, 기아는 인류에게 새겨진 폐단의 흔적”이라며 “국민을 제대로 먹이지 못하면서 성장을 주장하는 국가가 있다면 실패한 국가일 것이다. 인종과 피부색에 상관없이 그 누구도 굶주려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며 식량 안보의 중요성을 역설했다. 아프리카의 경제 사령관인 아데시나 박사는 “내 삶은 수백만 명의 사람들을 빈곤에서 벗어나게 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정도면 유용하다\"며 앞으로도 기아, 빈곤, 청년 완전 고용 등 아프리카의 발전을 위해 더 많은 일을 할 것을 강하게 밝혔다. 선학평화상 수상자에게는 100만 달러(한화 11억원 상당)의 시상금과 함께 수여되며,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현격히 공헌한 개인 또는 단체에 시상된다.제3회 선학평화상 수상자는 공동수상으로 아킨우미 아데시나(Akinwumi Ayodeji Adesina, 59세, 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 박사와 와리스 디리(Waris Dirie, 54세, 할례 철폐 인권운동가) 여사가 선정됐다. 제3회 시상식에는 세계 전·현직 대통령과 총리 10여명과 해외 국회의장·국회의원 등 정관계, 학계, 재계, 언론계, 종교계를 대표하는 총 1000여 명의 인사가 참석했다.[기사링크: https://www.ajunews.com/view/20190215131805201]
-
- 1,101
-
- 2021.03.05
-
[MBC NEWS] 소녀 '2억 명'에 자행된 고문…"슈퍼모델이 알렸다"
◀ 앵커 ▶ 일부 아프리카와 중동 지역에서는 폭력적인 관습인 여성 할례가 여전히 벌어지고 있습니다. 소말리아 유목민 출신으로 어린 소녀들에게 강제로 행해지는 할례를 전세계에 고발한 주인공이 한국을 찾았습니다. 세계적인 패션 모델이자 인권운동가인 와리스 디리 씨를 양효경 기자가 만났습니다. ◀ 리포트 ▶ 신디 크로포드와 함께 90년대를 대표하는 수퍼 모델이자, 수억 명 아프리카 소녀들의 생명을 구한 인권운동가인 \'와리스 디리\'. 그의 인사는 따뜻하고 힘이 넘쳤습니다. 소말리아에서 태어난 그는 12살 때, 자신을 60대 노인에게 팔아버린 아버지를 피해 도망쳤습니다. 친척을 따라 런던에 온 그는 우연히 세계적인 사진작가의 눈에 띄어 톱모델이 됐습니다. [와리스 디리/인권운동가] \"그런 멋진 시간을 가질 수 있었던 것에 깊이 감사합니다.\" 인기 절정이던 1997년, 그는 자신이 5살 때 당했던 할례의 폭력성을 전세계에 알렸습니다. [와리스 디리/인권운동가] \"어느 누구도 그 관습에 대해 싸우려 하지 않았어요. 여성 할례는 중대 범죄라는 걸 전 세계가 알아야 합니다.\" 여성 성기 일부를 잘라내고 봉합하는 할례는 순결의 징표로 강요돼왔습니다. 마취도 없이 비위생적으로 이뤄져 수많은 소녀들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와리스의 언니 2명도 숨졌습니다. [와리스 디리/인권운동가] \"수많은 소녀들이 감염이나 과다출혈, 합병증으로 목숨을 잃었습니다. 정말 공포스럽고 끔찍한 광기예요.\" 여성 할례는 세계적인 이슈로 공론화됐고, 이를 금지하는 국제법도 만들어졌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아프리카와 중동 등 30개국에서 2억 명의 여성이 할례를 당하고 있습니다. 그는 소말리아어로 \'사막의 꽃\'을 뜻하는 자신의 이름을 딴 재단을 만들어 할례 여성들의 치료와 재활을 돕는 의료센터를 설립하고, 소녀들의 교육을 위한 학교도 만들었습니다. 선학평화상 수상을 위해 한국에 온 그는 한국에도 성폭력 문제가 심각하다는 얘기에 이렇게 말했습니다. [와리스 디리/인권운동가] \"가정 폭력도 있나요? 전세계 모든 남성들에게 말합니다. 당신은 아버지예요. 어머니도 있고요. 아이와 여성을 학대하는 남성들은 부끄러운 줄 알아야 합니다.\" MBC뉴스 양효경입니다. [기사링크: http://imnews.imbc.com/replay/2019/nwdesk/article/5157032_24634.html]
-
- 1,140
-
- 2021.03.05
-
[TV조선] 제3회 선학평화상, 와리스 디리·아데시나 공동 수상
슈퍼모델 와리스 디리와 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 아킨우미 아데시나가 제3회 선학평화상을 받았습니다. 와리스 디리는 \'여성 할례\'의 폭력성을 세계에 처음 알렸고, 아데시나 박사는 농업 혁신으로 아프리카 대륙의 경제발전을 촉진한 공로가 인정됐습니다. 어제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는 수상자에게 총 100만 달러의 상금과 메달이 수여됐습니다. 홍일식 위원장은 \"제3회 선학평화상을 통해 인류 공동의 운명을 위한 미래 평화 아젠다로 \'아프리카의 인권과 개발\'을 제시했다\"고 말했습니다. 선학평화상은 격년으로 미래세대의 평화와 복지에 공헌한 개인 또는 단체에게 시상됩니다. [기사링크: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2/11/2019021190058.html]
-
- 1,029
-
- 2021.03.05
-
[코리아타임즈]We're close to ending FGM: model-turned-activist Waris Dirie
[INTERVIEW] We\'re close to ending FGM: model-turned-activist Waris Dirie Waris Dirie talks about her activity to eradicate female genital mutilation, during an interview with The Korea Times at a lounge in the Lotte Hotel World in eastern Seoul, Thursday. / Courtesy of Sunhak Peace PrizeModel-turned-activist Waris Dirie receives Sunhak Peace Prize in KoreaBy Lee Suh-yoonOver the years, former supermodel Waris Dirie has received many awards for her work on eradicating female genital mutilation (FGM) in East Africa.But she says the Sunhak Peace Prize, which she received in Korea on Saturday, is special.\"It\'s a peace prize. Peace means a lot to my life,\" Dirie said in an interview with The Korea Times in Seoul, Thursday. \"Also, I\'m receiving it in Korea, a conflict zone just a few miles from North Korea which needs freedom and peace.\"Dirie, 54, a supermodel who has starred in Chanel ads and a Bond movie, started her fight against FGM in 1997, after publicly disclosing she had undergone it as a child in Somalia, her birth nation. Her activism led her to become a writer, a film producer and the first U.N. Special Ambassador for the Elimination of FGM from 1997 to 2003.FGM involves partial or total removal of a female\'s external genitalia like the clitoris and labia. The U.N. estimates some 200 million girls and women in the world today ― mostly in East Africa ― have been subjected to the brutal procedure as a means of preserving their virginity, thus making them \"marriageable\" partners in the local community.Dirie set up the Desert Flower Foundation in 2002 to prevent FGM practices and help victims who are often subject to a lifetime of psychological distress and physical complications after the procedure. The organization allows sponsors to enter into an indirect contract with parents ― funding them on the condition the girls are sent to school and not subjected to the inhumane operation.There have been clear signs of progress. FGM rates for young girls in East Africa have dropped from around 70 percent to 7 percent over the last 20 years.\"We\'re almost there,\" Dirie said with a smile. \"There is awareness, there is education, and young women in Africa know through the internet and social media that this (FGM) is wrong.\"Dirie says her activism hinges on a philosophy of respect, which she developed in her personal interaction with nature while growing up in a nomadic tribe.\"We had to chase water. We could not just go get it, we had to pray and ask. We learned respect from nature,\" Dirie said. \"So I cannot intentionally hurt or disrespect anything with life. And FGM ― it is the worst cruel thing you can do to disrespect a woman.\"Once the practice of FGM is stamped out for good, Dirie says she will focus on education. She plans to use the prize money to build more schools for girls in Africa.\"They (girls) need to know their rights and be able to fight and stand for them without relying on anyone,\" she said. \"And be free and whatever they choose to be.\"The other recipient of the Sunhak Peace Prize this year was Akinwumi Adesina, the former Nigerian minister of agriculture and rural development and the current president of the African Development Bank, for aiding food security in the region.The Sunhak award was set up by Han Hak-ja and her husband Moon Sun-Myung, founder of the Unification Church, well known for its controversial mass weddings. Since 2015, the biennial prize has awarded $1 million to individuals who advance sustainability, human rights and peace.[기사링크: http://www.koreatimes.co.kr/www/nation/2019/02/119_263357.html ]
-
- 1,423
-
- 2021.03.05
-
[MBN 뉴스] '제3회 선학평화상' 아킨우미 아데시나, 와리스 디리 공동 수상
선학평화상위원회가 지난 9일 서울 롯데호텔월드에서 \'2019 제3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을 개최했습니다.이번 선학평화상은 아킨우미 아데시나 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와 와리스 디리 할례 철폐 인권운동가가 공동으로 받았습니다. 수상자에게는 총 100만 달러의 상금과 메달이 수여됐습니다.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는 농업경제학자로서 지난 30년간 아프리카 농업을 혁신했고 아프리카 대륙의 경제발전에 이바지했습니다.와리스 디리 여사는 여성 할례의 폭력성을 전 세계에 알려 할례 위기에 처한 수억 명의 어린 소녀들을 구했습니다.이번 시상식에는 100여 개국 전·현직 정상을 비롯해 천여 명이 참석했습니다. [기사링크: http://www.mbn.co.kr/pages/vod/programView.mbn?bcastSeqNo=1204737]
-
- 963
-
- 2021.03.05
-
[동아일보] ‘제3회 선학평화상 시상식’ 개최…아킨우미 아데시나-와리스 디리 공동 수상
▲ 왼쪽부터 선학평화상 설립자 한학자 총재, 수상자인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와 와리스 디리 여사 그리고 선학평화상 홍일식 위원장 선학평화상위원회(위원장 홍일식 전 고려대 총장)는 9일 오전 10시 서울 송파구 잠실 롯데호텔월드 크리스탈 볼룸에서 ‘제3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 상은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통일교) 문선명·한학자 총재의 평화비전을 토대로 인류의 평화로운 미래를 준비하자는 취지로 제정됐다. 수상 상금은 100만 달러(한화 약 11억원). 제3회 선학평화상은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와 할례 철폐 인권운동가인 와리스 디리 씨가 공동 수상했다.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는 농업경제학자로 지난 30년간 아프리카 농업을 혁신해 경제발전을 촉진한 공적이 인정됐다. 와리스 디리 씨는 수천 년간 지속된 여성 할례(FGM·Female Genital Mutilation) 폭력성을 세계에 알리고, 이 악습을 근절하기 위한 국제법 제정에 앞장서 왔다. 이날 시상식에는 해외 전, 현직 대통령 및 총리 10여 명을 비롯해 1000여 명이 참석했다.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는 수상 연설을 통해 “배고픈 곳에는 평화가 있을 수 없다”며 “특히 아프리카에서 가장 혜택 받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더 많은 것을 해야하며, 기아와 영양실조를 근절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라고 밝혔다. 와리스 디리 씨는 “우리 세대에서 할례는 철폐되어야 한다”며 “여성의 권리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싸울 것”이라고 말했다. [기사링크: http://news.donga.com/3/all/20190210/94042524/1]
-
- 975
-
- 2021.03.05
-
[연합뉴스] 아프리카개발은행총재 "배고픈 곳에 평화 없다"
아킨우미 아데시나·와리스 디리, 제3회 선학평화상 수상 ▲ 제3회 선학평화상을 받은 아킨우미 아데시나(왼쪽에서 두번째) 아프리카개발은행 총재와 할례 철폐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왼쪽에서 세번째). [선학평화상재단 제공] (서울=연합뉴스) 강종훈 기자 = 아킨우미 아데시나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총재는 9일 \"배고픈 곳에는 평화가 있을 수 없다\"며 기아 퇴치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아데시나 총재는 이날 서울 잠실 롯데호텔월드에서 열린 제3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에서 \"아프리카에서 가장 혜택받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더 많은 것을 해야 하며, 기아와 영양실조를 근절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아데시나 총재는 아프리카 농업을 혁신하고 경제발전을 촉진한 공로로 이 상을 받았다. 여성 할례의 폭력성을 알려온 슈퍼모델 출신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가 공동 수상했다. 와리스 디리는 수상 연설에서 \"우리 세대에서 할례는 철폐돼야 한다\"며 \"여성의 권리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싸우겠다\"고 밝혔다. 2015년 세계평화통일가정연합이 만든 선학평화상은 미래세대 평화와 복지에 기여한 개인 및 단체를 발굴해 격년으로 시상한다. 수상자에게는 상금 100만 달러가 수여된다. [기사링크: https://www.yna.co.kr/view/AKR20190209035700005?input=1195m]
-
- 1,021
-
- 2021.03.05
-
[문화일보] 아킨우미 아데시나 · 와리스 디리 ‘선학평화상’
▲ 왼쪽부터 선학평화상 설립자 한학자 총재, 수상자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와 와리스 디리 그리고 선학평화상 홍일식 위원장 선학평화상위원회는 9일 서울 잠실 롯데호텔에서 ‘제3회 선학평화상 시상식’을 개최했다. 이번 선학평화상은 아킨우미 아데시나(59·사진 왼쪽 두 번째)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총재와 와리스 디리(54·〃 세 번째) 할례 철폐 인권운동가가 공동 수상했다. 아프리카 농업을 혁신한 공로로 수상한 아데시나 총재는 이날 수상 연설에서 “배고픈 곳에는 평화가 있을 수 없다”며 “아프리카에서 가장 혜택받지 못한 사람들을 위해 더 많은 것을 해야 하며, 기아와 영양실조를 근절하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없다”고 말했다. 여성 할례의 폭력성을 알려온 공로로 수상한 슈퍼모델 출신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는 수상 연설에서 “우리 세대에서 할례는 철폐돼야 한다”며 “여성의 권리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싸우겠다”고 밝혔다. 수상자에게는 각 50만 달러의 상금과 메달이 수여됐다. [기사링크: http://www.munhwa.com/news/view.html?no=2019021101032939173001]
-
- 1,066
-
- 2021.03.05
-
[조선일보] 런웨이의 꽃? 난 여성 위해 싸우는 '소말리아 전사'
런웨이의 꽃? 난 여성 위해 싸우는 \'소말리아 전사\' \'할례 철폐\' 외치는 수퍼모델·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이 여성 앞에서 \'고통\'이란 단어는 맥을 못 추는 듯했다. 그녀의 눈빛은 \'두려움\'이란 단어도 산산이 부숴버렸다. 소말리아 유목민 출신에서 수퍼모델로, 다시 인권운동가로 거듭난 와리스 디리(Dirie·54). 1990년대 프랑스 샤넬의 얼굴로, 미국 유명 화장품 레브론이 선택한 첫 흑인 독점 모델로, 세계적인 패션쇼 무대를 누비며 최고의 주가를 올리던 1997년, 다섯살에 받은 \'할례(여성 성기 절제)\'의 폭력성을 고백하며 국제사회에 할례 철폐를 전면에 부각시킨 주인공이다. 그러나 7일 서울에서 만난 그녀는 뜻밖에도 \"삶은 축복\"이라며 말문을 열었다.\"내가 고통 없이 숨 쉬고 있는 매 순간을 사랑해요. 아침에 일어나 머리부터 발끝까지 완벽하게 건강한 나 자신을 볼 때의 희열이란! 그 어떤 차별도, 불평도 없이 나의 마음은 모두에게 열려 있고, 이토록 아름다운 삶을 영위할 수 있게 해준 신께 감사를 드립니다.\" “여성이 제대로 된 권리를 얻을 때까지 싸움을 멈추지 않겠다”는 와리스 디리가 7일 어깨에 두른 스카프를 접더니 마치 여전사처럼 머리에 두르며 외쳤다. “잔인함을 멈춰라! 긍정적으로 살아라(Stay positive)”. 디리는 오는 9일 선학평화상을 수상한다. 작은 사진은 1990년대 샤넬 향수 모델이었던 와리스 디리. /박상훈 기자·warisdirie.wordpress.com 한국이 첫 방문인 디리가 여러 번 강조한 단어는 \'감사(gratitude)\'였다. 와리스는 소말리아어로 \'사막의 꽃\'이라는 뜻. 그러나 이름과 달리 그녀는 생살을 찢고 꿰매며 거의 고문이나 다름없는 할례로 수십 년을 고통 속에서 살았다. 사촌 언니와 친언니는 할례 뒤 과다 출혈과 합병증으로 결국 사망했다. 열두 살 땐 \'결혼 자금\'이란 명목으로 낙타 다섯 마리에 자신을 60대 노인에게 팔아버린 아버지를 피해 맨발로 집을 뛰쳐나왔다. \"살아만 있게 해달라고 빌었던 시절이 있었지요. 어느 날 눈을 뜨니 환한 햇살이 저를 반기더군요. 언젠간 우리가 겪은 모든 순간을 낱낱이 고발해야겠다는 소명을 느꼈어요. 세상에 널리 퍼질 충분한 힘을 가졌을 때 \'폭발시키겠다\' 마음먹었지요. 우리가 지구라는 행성에 온 건 다 이유가 있다고 생각했어요.\" 잊고 싶은 순간을 입 밖으로 꺼내는 것조차 고통이었지만 디리는 \"난 이게 과연 될까, 할 수 있을까, 어떻게 될까 같은 건 절대 생각하지 않았다\"고 했다. \"\'만약에\'라는 것에 사로잡히는 순간 실행에 옮기기 어려워지니까요. 두려우면 지는 겁니다.\"모델로 활동하던 시절 그녀가 가장 이해할 수 없었던 일은 \"두통 때문에 일 못하겠어\" 따위의 불평이었단다. 약 하나 없이 뼈가 부러지면 부러진 대로, 너덜너덜해진 상처를 달고 다니는 게 소말리아의 일상이었다. \"부정적인 사람들은 인생에서 하등 중요하지 않은 가십에만 빠져들며 자신을 갉아먹지요.\" 와리스 디리를 \'현대판 신데렐라\'라고 부르는 이도 있다. 아버지로부터 도망친 그해 마침 소말리아 대사로 런던에 부임한 이모부의 가정부로 런던 땅을 밟았다. 돈을 벌기 위해 패스트푸드점 청소를 하다 우연히 버킹엄 궁전의 사진작가 테렌스 도노반의 눈에 띄어 모델계에 입문했다. 자전적 이야기를 담은 책 \'사막의 꽃\'(1997)은 1100만부 넘게 팔렸고, 동명의 영화(2009)는 전 세계 56국에 상영됐다. 2002년 \'사막의 꽃\' 재단을 만들어 아프리카 여성 구호에 힘쓰고, 파리·베를린·암스테르담·스톡홀름 등에 \'사막의 꽃\' 센터를 설립해 할례 여성을 치료해왔다.2004년엔 \'여성 세계상\', 2005년엔 가톨릭 인권운동본부의 \'오스카 로메로 주교상\', 2007년엔 프랑스 레지옹 도뇌르 훈장도 받았다. UN인권 특별대사로도 활동했다. 얼마 전부터는 아동 문맹률 낮추기 운동에도 앞장서고 있다. 지난해엔 시에라리온에 초등학교를 설립했다. \"신데렐라, 그게 뭐죠? 제가 신발은 자주 잃어버립니다만, 하하! 왕자 같은 건 세상에 없어요. 내 인생은 내가 만들어나가는 겁니다. 누군가 해결해주겠지 기다리지 말고, 행동으로 옮기세요. 저는 그 누구도 아닌 모델이자 전 세계 여성을 위해 싸우는 전사입니다.\" [기사링크 :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19/02/08/2019020800139.html]
-
- 1,088
-
- 2021.03.04
-
[한국일보] 할례 철폐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 “제3세계 여성 잊은 ‘미투’ 운동, 아쉬워요"
할례 철폐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제3세계 여성 잊은 ‘미투’ 운동, 아쉬워요\" [저작권 한국일보] 여성 할례 철폐 주장해 온 패션 모델 ‘와리스 디리’ 책 발간 사인회.10일 광화문 교보문고. 서재훈 기자“그때 그 고백이 아니었다면 제 인생은 마비된 채 무너져 갔을 겁니다.” ‘미투(#MeToo) 운동’의 진원은 2017년의 미국 할리우드가 아닐지 모른다. 1997년 아프리카 소말리아 출신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54)가 세상을 뒤흔든 비밀을 폭로한 그 순간이 미투의 진짜 시작 아닐까. 와리스 디리는 당시 인기 절정의 패션 모델이었다. 패션잡지 마리끌레르와 인터뷰에서 할례(여성 성기 절제) 경험을 고백했다. 패션 모델은 완벽한 아름다움으로 소비되는 존재이기에, 스스로 모델 인생을 끊을 수도 있었던 위험한 선택이었다. 당연히, 그는 마음을 또 한 번 깊이 다쳤다. 와리스 디리의 용기와 상처 덕에, 할례 문화가 상징하는 여성 인권 참상이 전세계에 알려졌다. 유엔도 나섰다. 와리스는 소말리아어로 ‘사막의 꽃’이란 뜻이다. 그는 제 이름을 딴 ‘사막의 꽃’ 재단을 2002년 설립했고, 세계를 돌며 여성 인권 향상을 외치고 있다. 여전히 싸우는 중인 그가 한 종교재단이 주최하는 선학평화상 수상자로 선정돼 한국을 찾았다. 10일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광화문점에서 열린 ‘사막의 꽃’ 저자 사인회에서 그를 잠시 만났다.사인회엔 독자 200여명이 몰렸다. 와리스 디리를 보고 울음을 터뜨린 여성도 있었다. 그는 그 여성을 한참 동안 안아 줬다. “한국 여성들을 직접 만나 어떻게 사는지, 어떤 생각을 하는지 묻고 또 용기를 주고 싶었습니다.” 10일 서울 종로구 교보문고 광화문점에서 열린 \'사막의 꽃\' 책 사인회에서저자이자 슈퍼모델, 여성 할례 철폐 운동가인 와리스 디리(왼쪽)가울음을 터트린 여성을 달래고 있다. 신지후 기자 ‘사막의 꽃’에는 와리스 디리가 이토록 강인해 질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담겨있다. 할례를 당한 뒤 뙤약볕 아래 한달 내내 누워만 있던 사연, 낙타 다섯 마리 가격에 예순 노인에 팔려갈 뻔한 일, 성폭행 위협에 수 차례 노출됐던 고통까지, 참혹한 현실이 적나라하게 적혀 있다. “1990년대 후반 제가 책을 썼을 때 어떤 출판사도 받아주지 않았어요. 사실로 받아들이기 힘들만큼 폭력적이라 잘 팔리지 않을 거라고 판단한 거죠.” 책이 나온 건 1998년이었다. 올해까지 전세계에서 1,300만여권이 팔렸다.와리스 디리는 ‘미투 운동’을 어떻게 보고 있을까. 그는 뻔한 응원의 말을 하지 않았다. “굉장히 중요한 움직임이지만, 아프리카 혹은 제3세계 여성들을 간과하고 있어 매우 애석하다”고 꼬집었다. “미투 운동을 시작한 할리우드 스타들 중 ‘할례 철폐 캠페인’에 함께해 준 사람은 없었어요. 할례 실태에 대해 제게 묻는 사람도 손에 꼽고요. 할례는 최악의 성적 학대인데도 말이에요.”그는 그저 투사가 아니다. 일상 속의 그는 스마트폰에 빠진 두 아들을 세상으로 꺼내는 걸 미션으로 삼는 평범한 사람이다. “여성이자 엄마로서 제 경험을 고백하고 계속 싸워가는 게 고통스럽지 않느냐는 질문을 많이 받아요. 제가 겪은 일들을 세상에 알리지 않았다면, 제 삶은 마비됐을 거예요. 그래서 저는 멈추지 않아요. 내년엔 ‘할례를 끝내자’(End FGM)는 구호의 대형 국제 캠페인을 시작할 거예요.” [기사링크: http://www.hankookilbo.com/News/Read/201902111601056195?did=DA&dtype=&dtypecode=&prnewsid=]
-
- 1,010
-
- 2021.03.04
-
[세계일보] 아프리카 개발·인권신장 희망 심어준 선학평화상
아프리카 개발·인권신장 희망 심어준 선학평화상 아프리카의 기아문제 해결을 위해 농업혁신에 앞장선 나이지리아의 아킨우미 아데시나 박사와 여성 인권신장에 헌신한 소말리아 출신 인권운동가 와리스 디리가 그제 제3회 선학평화상을 수상했다. “참사랑으로 인류평화를 실현해야 한다”는 문선명 총재의 사상을 실천하기 위해 한학자 총재의 제안으로 제정된 선학평화상이 이번에 아프리카에 주목한 것이다.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총재인 아데시나 박사는 아프리카 식량혁명에 반평생을 바쳤다. 아프리카가 만성 빈곤을 극복하고 성장의 길에 들어서려면 농업혁신이 시급하다고 판단한 그는 지난 30년간 우수한 종과 농법을 대륙 전역에 전파해 농업생산성을 크게 향상시켰다. ‘배고픈 곳에 평화가 있을 수 없다’는 그의 지론은 울림이 크다. 아데시나 박사는 수상소감에서 “세계 8억5000만명 이상이 굶주림에 시달리고 있다”며 “인류가 배고픔으로부터 벗어나는 게 나의 꿈”이라고 역설했다. 디리는 아프리카 여성들의 삶을 개선하기 위해 온몸으로 싸웠다. 세계적인 슈퍼모델로 활동하던 그는 1997년 아프리카 여성들을 대표해 여성 할례의 폭력성을 공론화하고 할례 근절을 선도했다. 2012년 유엔총회가 여성 할례를 전면 금지하는 결의안을 만장일치로 통과시킨 것은 그의 남다른 용기에 힘입었음을 부인할 수 없다. 할례는 아프리카·중동 여성들을 상대로 자행되는 대표적인 인권침해 행위다. 지금도 전 세계에서 2억명 이상의 여성이 할례로 고통받는다고 한다. 홍일식 선학평화상위원회 위원장은 시상식 환영사를 통해 “평화로운 세계는 세상 모든 이들의 인권의 존엄이 지켜질 때 비로소 도래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아프리카는 지구촌에서 가장 빈곤하고 인권이 열악한 대륙이다. 민족·종교 갈등에 정치 혼란까지 겹쳐 희망을 잃은 사람들이 너도나도 난민대열에 합류해 국제사회 안정이 위협받는 지경이다. 선학평화상위원회가 올해 미래 평화를 위한 의제로 ‘아프리카의 인권과 개발’을 제시한 것은 시의적절했다. 아프리카에는 자연자원이 풍부하고 많은 젊은이들이 있다. 국제사회의 교육과 기술 지원이 결합되면 발전 가능성은 무한하다. ‘지구촌 한가족’ 시대에 아프리카의 경제발전과 인권신장 없이는 세계평화는 요원하다. 아데시나 박사와 디리가 보여준 용기와 리더십이 세계평화를 정착시키고 따뜻한 인류애를 확산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기사링크: http://www.segye.com/newsView/20190210001855]
-
- 1,045
-
- 2021.03.04
- Sunhak Peace Prize
-
미래세대는 현세대의 생물학적 자손을 넘어 현세대가 직접 만날 수 없는
미래의 인류 일반을 의미합니다.현세대가 행하는 모든 행위는 미래세대에게 긍정적·부정적 영향을 주기에
우리는 미래세대에 대한 책임 의식을 가져야 합니다.
